온라인 서비스 기획 방법 차이점
앱/웹과 앱/웹 서비스의 차이점
앱/웹 기획과 앱/웹 서비스 기획이 다른 이유는 앱/웹과 앱/웹 서비스 상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앱/웹과 앱/웹 서비스 상품 차이를 알아보고, 이 차이가 기획과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앱/웹 상품과 앱/웹 서비스 상품 차이
앱/웹 상품
- 상품 정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직접 보고 만지는 온라인 프로그램 자체를 의미. (예: 네이버 앱, 쿠팡 웹사이트)
- 상품 특징: 코드로 구성된 유형의 제품. 모든 사용자가 쿠팡 보고 쿠팡이라고 인식하는 것처럼, 누구에게나 동일하고 객관적으로 인식 됨.
앱/웹 서비스 상품
- 상품 정의: 사용자가 앱/웹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서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통해 얻게 되는 총체적인 이용 경험을 의미.
- 상품 특징: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경험. 무형의 상품이이기에 같은 앱을 사용하더라도 개개인의 만족도, 편의성, 감정 등은 모두 다를 수 있음. 앱스토어의 평점이 평균으로 표시되지만, 세부적으로는 1점부터 5점까지 다양한 것도 이 때문.
앱/웹, 앱/웹 서비스 기획 방식 차이
위와 같이 앱/웹 그리고 앱/웹 서비스 상품 차이로 인해 기획 단계에서 근본적인 접근 방식의 차이를 만듭니다.
앱/웹 기획
- 기획 기반: 공학적 명확성과 논리(로직)에 기반
- 기획 목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작동하는, 오류가 없고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개인의 감정이나 주관적 경험을 기반으로 기획하면 시스템 로직 충돌이나 개발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앱/웹 서비스 기획
- 기획 기반: 인간의 인지 시스템과 통계적 확률에 기반
- 기획 목표: 모든 사람을 100% 만족시킬 수 없다는 전제 하에 다수의 사용자가 긍정적인 경험을 할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획. 이는 마치 양자역학이나 열역학처럼 확실한 개별 현상이 아닌 전체적인 경향성과 확률을 다루는 것과 유사.
미래 서비스 핵심 사용자의 경험을 높은 확률로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가정을 서비스 가설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앱/웹 기획이 기술적이고 공학적 영역의 것이라면,
앱/웹(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과학 실험의 영역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앱/웹은 '무엇을 개발하는가(What to build)'대한 것이고,
앱/웹 서비스는 '사용자가 무엇을 느끼게 할 것인가(What to make users feel)'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성공적인 온라인 서비스 제품(Product)을 개발하기 위한 첫 걸음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