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앱/웹 기획 방법 및 타당성 기준
앱/웹 개발 기획 개요
개발될 앱과 웹에 대한 기획은 온라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접점 공간으로써 가치 및 수익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성으로 되어야 합니다.
1. 앱/웹의 의미와 역할
여기서 말하는 앱과 웹은 스마트폰 앱, 웹 사이트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앱과 웹은 오프라인 서비스에서 백화점, 병원과 같이 온라인에서 서비스를 제공/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접점 공간입니다.
사용자가 차를 타고 백화점에 와서 쇼핑을 하듯이,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된 이 사이버 공간의 개발이 필수입니다.
2. 앱/웹 개발의 목적과 전략
앱/웹 개발은 단순히 온라인 상 공간 구현을 넘어, 기업이 서비스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비스를 하려는 각 기업에 따라 서비스 기획을 통해 계획된 서비스 특성과 전략에 따라 개발의 방향과 방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온라인 서비스 공간 개발 준비 단계
3.1 서비스 목표 및 가치 정의
앱/웹 기획의 시작은 기능과 UI, 화면 구성 등으로 상호작용 하려는 명확한 서비스 목표 설정과 개발 구현하고자 하는 가치 정의입니다.
3.2 서비스 기획 기반 개발 내용 정리
사전 기획 된 서비스 가설을 바탕으로 앱/웹이 가져야 할 구체적 기능과 로직, 사용자 흐름(여정), 정책을 정리합니다.
이 내용은 외주 개발 시에는 요구 사항 정의서로 정리됩니다.
앱/웹 기획자(또는 PM)는 이를 구체화하여 함께 앱/웹 개발을 진행할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시킵니다.
4. 앱/웹 기획과 스토리보드
4.1 기획 목적에 따른 분류
- 기능 중심 기획 : 서비스 작동 로직, 처리 흐름 중심 (기술적/개발자 관점)
- 화면 중심 기획 : 사용자 UI/UX, 화면 구성 요소 및 디자인 중심 (사용자/디자이너 관점)
4.2 스토리보드 유형
- 기능 설계 유형
- 기능 처리 흐름 중심
- 프로세스/알고리즘 중심, 디자인 요소 적음
- SI, 복잡한 로직 개발 중심
- 화면 설계 유형
- 화면 구성 중심
- 디자인 풍부, 상세한 UI
- 웹에이전시, 화면 구성 중
5. 기획 방식에 따른 프로젝트 리스크
- 화면 설계 중심 기획 : 디자인에는 강하나 개발 로직이 약한 경우, 프로젝트 후반으로 갈수록 개발 충돌 가능성 있음. 화면 구성이 중요하고 개발이 복잡하지 않은 프로젝트에 투입.
- 기능 설계 중심 기획 : 로직에는 강하나 UI나 화면 세부 설계가 부족할 경우, 디자인 품질이 저하되고 사용자 경험에 문제 발생 가능성 있음. 화면 중요도는 낮고 기능 이용 중심 프로젝트 또는 솔루션(SAP 등) 기반 프로젝트에 투입.
6. 기획 타당성 판단 기준
아무리 편리한 UI와 세련된 화면으로 구성된 앱/웹이라도 서비스가 작동하지 않으면 무의미합니다.
앱/웹은 반드시 서비스 가설이 실현 가능한 구조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다음의 기준으로 검토됩니다.
- 서비스 정책 : 서비스 방향성과 운영 원칙
- 서비스 구조 : 기능 간 관계 및 흐름 (IA, 플로우 차트)
- 서비스 기능 : 사용자 요청이 처리되는 로직
7.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및 문서화
- 서비스 기획 : 서비스 정책/구조/기능 문서화
- 문서화 된 서비스 기획을 바탕으로
- IA/화면 구성 > 화면 설계서
- 기능 내역 > 기능 정의서
- 화면 구성과 기능 내역을 통합하여 스토리보드 작성.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앱/웹 개발 기획 핵심
- 개발될 앱과 웹은 온라인 상 서비스 공간입니다.
- 기획은 목적(기능/화면)에 따른 방식이 다릅니다.
- 스토리보드는 기획자와 개발자/디자이너의 커뮤니케이션 도구입니다.
- 기획의 타당성은 서비스 기획 시 설계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앱/웹의 개발 가능성에 달려 있습니다.
- 그러므로 서비스 정책, 서비스 구조, 서비스 기능(개발 기능과 다름)의 상세화가 필수적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